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31

관리비 꼼수 부리는 집주인 [1] 인터넷 + TV 강제 결합 요금 수법: 집마다 인터넷/ TV를 개별로 설치할 수 없게 하고, 관리비에 일괄 포함시켜서 과도하게 요금 청구하는 방식 예시) KT 인터넷 22,000원 짜리를 35,000원씩 받는 경우도 있음 - 대안: 계약 전 반드시 인터넷, TV 요금 별도 선택 가능한가요? 확인! → 불가하면 요금 내역 비교 요청[2] 고정 관리비인데 공공요금은 별도 청구 수법: 관리비는 정액 8만 원이라 해놓고 전기세, 수도세, 가스비 등을 매달 추가로 부과→ 실질 관리비가 12만 ~ 15만 원까지 올라가는 사례도 있음 - 대안: 계약서에 "정액제 관리비에 포함되는 항목 명시" 필수![3] 공용 전기·가스 과다 부과 수법: 복도·엘리베이터 전기, 공동 난방비 등을 세대 수로 나누지 않고 임의로.. 2025. 8. 15.
임대차 계약 전 꼭 물어봐야 할 관리비 관련 질문 1. 관리비에 포함되는 항목은 어떤건가요?→ 이유: 관리비는 통합 금액이 아닌, 세부 항목마다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 꼭 체크할 항목들- 인터넷, TV수신료- 엘리베이터 유지비- 수도세, 전기세, 가스비(개별/ 공용?)- 청소비, 경비비- 정수기, 공기청정기, 관리시스템 이용료 등2. 고지서로 나와요, 아니면 그냥 정해진 금액인가요?→ 이유: - 관리비가 고정형(정액제)인지- 실제 사용량에 따라 매월 변동형(실비)인지 체크해야 합니다.3. 월 평균 관리비는 보통 얼마정도 나오나요?→ 이유: 과거 입주자들이 실제 낸 평균 관리비 수준을 물어보는 겁니다. 너무 높다면 다시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4. 관리비 영수증이나 내역서 받아볼 수 있을까요?→ 이유: - 일부 집주인 또는 관리인이 내역을 숨기고 일.. 2025. 8. 14.
전·월세 계약서에 꼭!! 추가해야 하는 특약 1. 임대인은 임대차 계약 만료일에 신규 임차인의 임대 여부와 상관없이 전세(혹은 월세) 보증금을 즉시 반환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만 보더라도 계약 만료일이 되면 임차인은 주택을 임대인에게 반환하고, 임대인은 임대차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반환하도록 되어 있다는 건 다들 아실겁니다.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임대인들이 신규 임차인이 아직 구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보증금 반환을 계약 만료일 이후로 미루려고 하는게 엄연한 현실입니다. 특히 빌라(다세대·다가구·연립주택 등)의 경우 최근 몇 년 사이 역전세난이 심해지면서 이런 일이 더욱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계약 만료일에 맞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 할 경우 세입자는 새로운 집으로 이사갈 돈을 마련하기 어려워지는 등큰 곤란을 겪게 되는데요. 이 특약을 이러한 상황을 .. 2025. 8. 13.
전세사기 전조 증상 10가지 [1] 시세보다 너무 저렴한 전세 매물 ● 예시: 같은 동네 같은 평수 매물이 3억 원 인데. 갑자기 2억 초반● 전형적인 미끼 매물 일 수 있습니다. 시세 확인 필수(네이버 부동산, KB시세 등)[2] 등기부등본과 계약서 정보가 다름 ● 등기부등본에 없는 건물 주소, 임대인 명의와 계약서 상 정보가 불일치● 등기부등본은 반드시 열람(최근 1주일 이내 발급된 것으로 확인)[3] 건물 상태에 비해 전세가가 비정상적으로 높음 ● 오래된 다가구주택인데 전세가가 이상하게 높을 경우● 전세금 '깡통주택'일 가능성 있음 → 매매가 대비 전세가율 확인[4] 임대인이 '위임장'으로 대리인 통해 계약하려 함 ● 실제 소유자가 나오지 않고 '위임받은 사람'이 나와서 계약을 유도● 위임장이 진짜인지 확인 불가한 경우 위험 .. 2025. 8.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