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차인13

임대료와 임차료 뜻과 차이점 정리 안녕하세요. 복덕방주요뉴스입니다.부동산 계약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용어로는임대와 임차료 그리고 차임이 있는데요.이들은 비슷하게 드릴 룻 있으나,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이 세가지의 용어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서로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임대료 부동산의 소유주가 자신의 재산을 타인에게 사용하게 하고 받는 대가를 말합니다.이는 임대인이 임차인에게서 받는 금전적 보상을 지칭합니다.계약서에는 이 금액이 얼마인지와 언제 지불해야 하는지 명시되어 있습니다.주로 부동산의 위치, 규모, 시설 상태 및 기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예를들면, 도심 소재의 사무실 건물은 동일 면적의 교외 건물에 비해 높을 수 있습니다.이는 중심지에 대한 높은 수요 때문입니다.임차료 임차료는 부동산을 임.. 2025. 4. 3.
전세 연장 묵시적갱신 VS 재계약, 유리한건 뭔가요? 안녕하세요.복덕방주요뉴스입니다.임대차 계약 만기가 다가와 연장하고 싶을 경우, 계약갱신 방법으로 3가지가 있는데요.바로 묵시적갱신과 재계약, 그리고 계약갱신요구가 있습니다.이 세가지 중 어떤 방법이 유리한지 개념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묵시적갱신묵시적 갱신이란 임대인이 이매차 기간이 끝나기 6개월전부터 2개월(2020년 12월 10일 이후 최초로 체결되거나 갱신된 임대차부터 적용)전까지의 임차인에게 갱신 거절의 통지를 하지 않거나 계약 조건을 하지 않으면갱신하지 않는다는 뜻이 통지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보는 것을 말합니다.임대인이나 임차인 중 한족이라 갱신거절이나 게약조건의 변경의 통지를 한 경우에는 그 임대차 계약은 묵.. 2025. 2. 4.
반려동물 키우는데 집주인 허락 꼭 있어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복덕방주요뉴스입니다.출산보다 반려동물 키우는 분들이 많은 요즘,그만큼 사건사고들도 많은데요.임대인 허락없이 애완동물 키우면 어떤 문제들이 생기는지 적어보았습니다.동물을 사랑하시는 분들이라면 정독하시고피해보시는 일 없기를 바랍니다.반려동물 금지 특약의 정의 및 목적 우리나라의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의 수는 약 600만 가구를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요.강아지나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공동주택에선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분쟁이 자주 일어납니다.이에따라 임대인이 임대차 계약서에 반려동물 키우는 것을 금지하는 특약을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계약서에 반려동물 금지 특약이 있는 경우 - 임차인은 반려동물 금지특약에 동의한 경우 그 의무를 준수해야 합니다.- 임차인이 특약을 위반하여 반려동물을 키.. 2025. 1. 18.
제 동의없이 집 보여준 집주인 처벌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복덕방주요뉴스입니다.집값이 너무 비싸서  월세 또는 전세 등으로거주하시는 분들 많으실텐데요.혹시 동의없이 집주인이 집을 보여준 경험이 있으신가요?생각만해도 소름이 끼치고 있어선 안될 일이죠.이럴 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도 알아놓을 필요가 있는데요.오늘은 내 동의없이 집을 보여준 집주인 처벌 가능한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임차인 동의없이 방 안까지 보여준 집주인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집을 보여주는 행위 자체에 대해 동의한 적이 있다고 하더라도동의없이 방을 보여줘서는 안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습니다.집주인이라고 하더라도 실제 방에서 살고 있는 임차인의 권리를 침해해선 안된다는 뜻인데요. 방을 보여줄때는 임차인에게 미리 알리고 그에 대한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하는 판결입니다... 2025. 1. 17.